본문 바로가기
침치료 주기

침맞는 주기 알아보기

by Dr.shine 2023. 8. 30.
반응형

침맞는 주기 알아보기

침 맞는 주기 알아보기 

 

내복약을 처방받으면 

빠른 치유를 위해 

복용 방법이 있는것 처럼 

 

침치료 또한 이와 비슷한 개념으로 

침치료 주기 라는게 있습니다. 

 

침치료 주기라는 것은 

침치료를 

매일,

격일에 한번,

3~4일에 한번 

혹은 일주일에 한번

아님 아플때만 맞는 등

구체적인  치료 시간표입니다.

반응형

침치료 주기는

증상의 경중, 급성만성, 체력, 나이, 어쩔 수 없는 시간제한, 한약복용 등에 의해 달라집니다.  

 

1. 증상의 경중: 

 증상이 심한 경우는

통증이 어느 정도 감소 될 때까지

3~5일간 연속으로  침치료를 하는 게 좋습니다.

체력과 나이의 조건을 고려해야 하지만

너무 아프게 되면 

아픈 것 자체가 너무 힘들기 때문에 

통증을 빨리 잡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부분 급성일 경우에 해당합니다.

급성 목통증 자침

증상이 가벼운 경우는 

본인의 선택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체력이 좋으신 분은

3일 연속으로 침치료를 할 수 있고

체력이 좋지 못하거나, 나이가 있는 분은 

격일, 3~4일에 한 번 , 일주일에 한번 등등

본인의 스케줄에 맞추어서 치료가 가능합니다.

 

빠른 회복을 위해서는

일주일에 2번의 침치료를 받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일주일에 한 번 침치료 또한  

회복은 되지만 

치료 기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고 

통증에 대해서 외부의 영향을 받게 되면 

 만족할만한 효과를 보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2. 급성, 만성:

급성으로 인한 심한 통증은

저질 체력이 아니면

3~5일간 매일 침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아무리 심한 통증의 급성이라도 

침을 연속해서 맞는 경우

체력이 좋고 운동으로 다져진 몸이라도

침몸살이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침몸살이 발생했다 해서

절대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고

체력이 고갈되고 있어서

회복할 수 있는 일정시간 휴식이 필요합니다.

이런 이유로 처음  3~5일간 연속으로 치료하고 

이후에는 2~3일에 한 번씩 침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급성 요통 자침

만성인 질환은 

매일 침을 맞을 경우 침몸살이 나올 확률이 높습니다.

특히나 나이가 좀 있으면 체력적인 문제가 확실히 존재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일주일에 3번 정도 침치료를 하고 

회복 경과가 좋으면

일주일에 두 번으로

침치료 간격 시간을 늘리면서 마무리를 합니다.

 

 만성질환에서 급성이 발생했다면 

이런 경우에는 환자의 상태가 중요합니다.

대부분은 통증을 빨리 잡기 위해서

첫 번째 주는 3번 치료를 하고 

다음 주 차에는 2번으로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3. 체력:

체력은 침치료 주기에 큰 영향을 줍니다.

 

저질 체력인 경우는 

침치료 후 급격히 체력저하가 발생할 수 있는데 

다음 침치료 때까지 체력이 충분히 회복된 후에 

지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소화기가 좋지 않은 분들이 저질 체력이 자주 보이고

침몸살 반응도 좀 크게 나타납니다.

 

체력이 왕성하고 평소 운동을 꾸준히 하시는 분들은 

침치료를 3~5일 연속으로 해도 

몸이 힘들어하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마라톤을 하신 분이 목통증으로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데 

7일 연속 침치료를 해도 체력저하가 나타나지 않았고

후에는 2일에 한 번씩 진료를 했습니다.

 

체력이 좋다고 반드시 침몸살이 없는 것은 아닌데

치료기간을 짧게 타이트하게 받을 수 있는 조건이 됩니다.

 

4. 나이:     

나이가 한 살이라도 어릴수록 회복력은 다릅니다.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70대 이상은

각각 회복력에 차이가 납니다.

 

10대 때는 아무리 운동을 많이 해도 

한숨 푹 자면 다음날 완전히 회복되듯이 

침치료 또한  빨리 회복됩니다.

 

남녀 60세가 넘으면 

근력이 약해져서 

근육통 침치료는 많은 시간이 필요로 합니다.

 

5. 어쩔 수 없는 시간제한: 

치료를 빨리 받고 싶어도 

시간이 여의치 않아서 

진료를 받기 어려운 분들이 많습니다.

 

이런 분들은 

긴 시간을 두고 꾸준히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한데 

 

침치료는 최소 일주일에 한 번씩이라도 

꾸준히 치료를 받으면 

효과가 나옵니다.

 

일주일에 한 번 정도는 침치료를 해줘야 

몸에서 기억하고 치료 효과가 나오는데 

 

일주일이 넘어가는 침치료는

치료가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6. 한약 복용: 

 

근육통, 인대 손상등 외과적인 침치료를 할 때는 

대부분 침치료만 하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몸이 약하고 저질체력인 경우, 

상황상 빨리 회복해야 하는 경우에 

기력을 올리는 한약 복용과 침치료를 병행하면 

빠른 회복을 보입니다.

 

발목을 크게 접질려서 

걷기 힘든 분이 

10일 후에 유럽여행을 떠나는데 

걷지를 못할까 봐 걱정을 하셔서

8일 연속 침치료와 한약 복용을 병행했더니

큰 무리 없이 여행을  다녀왔다고 합니다.

 

 

결론: 

침 맞는 주기는

증상의 경중, 급성만성, 체력, 나이, 시간제안, 한약복용 등등

여러 가지 조건을 고려해서 결정할 수 있습니다.

 

임상에서 얻은 결론은

첫째 주 진료는 일주일에 2번 ~3번 정도 침치료가 적당하고

둘째 주부터는 회복의 정도에 따라서 치료 기간을 늘리면 됩니다.

 

간혹 일주일에 1번 정도 해야 하는 분들도 계십니다. 

 

의료진의 건의가 중요할 수 있지만 

환자의 회복 상태가 제일  중요합니다.

 

침치료를 하다 보면 돌발 상황도 있으니 

그때그때 상황에 맞게 

의료진과 소통을 하여

진료를 받으면 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