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0

침치료후 운동은 통증이 다 사라진후 하셔야 됩니다. 침치료 후운동은 손상된 부위의 통증이 완전히 느끼지 못할 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침치료 후에 주의 사항을 주는데 그중의 하나가 손상이 회복 될때까지 운동 금지 입니다. 운동을 금지시키는 이유는 더 큰 손상을 막기 위해서입니다. https://drshine.tistory.com/100 침치료 전.후 주의사항 알아보기침치료 전. 후 주의사항 알아보기 침치료를 받을때는 침치료 전과 후의 주의할 점들이 있습니다. 침치료 전에는 신체적으로 적절한 준비가 되어 있어야 침치료시 불편함을 못느끼는데 그렇지drshine.tistory.com 근육통 침치료는 경직된 근육을 이완시키는 방법입니다. 대부분의 운동 손상 근육통은근육 경직으로 인해서 생기는 것이어서 침치료가 적합합니다. 경직된 근육통을침치료를 하게 되면 통증이.. 2023. 9. 13.
침몸살이 나는 이유 침몸살이 나는 이유 침치료 후침몸살이 나는 이유는 침치료가 가지고 있는피동운동(被动运动)의 특성 때문입니다.  운동 후에는 근육이 뻣뻣해지고 결리는 불편한 증상이 생기지만 일정 시간이 지나면  불편한 증상이 사라지면서 근육이 커지고 탄력이 생기게 됩니다. 이것을 자가 운동이라 하면  자기 스스로 운동을 하지 않았지만 침치료를 통해서경직된 근육이 자연스럽게 풀리고 탄력이 회복되는 것을 피동운동(被动运动) 혹은 수동운동(受动运动) 요법(疗法)이라 부릅니다. 침몸살은 침치료를 통해서 본인이 가지고 있는회복 에너지를 이용해  피동운동으로몸을 회복시킬 때 나타나는  정상적인  근육 반응 현상으로 대부분 만성 질환일 때 강하게 나타납니다.  침몸살의 대표적 증상은 전신의 근육통, 무력감, 피로가 있습니다  1. 전.. 2023. 9. 6.
침치료 전.후 주의사항 알아보기 침치료 전. 후 주의사항 알아보기 침치료를 받을때는 침치료 전과 후의 주의할 점들이 있습니다. 침치료 전에는 신체적으로 적절한 준비가 되어 있어야 침치료시 불편함을 못느끼는데 그렇지 못하는 경우에는 훈침(晕针)으로 불리는 불량 반응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치료 후에는 침몸살이 발생할 수도 있기에 빠른 회복을 위해서 최대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1. 침치료 전 주의사항 음주상태, 과식 또는 허기진 공복 상태, 체력저하, 땀을 많이 흘린 과도한 운동 후, 심리적 불안이 있을 때는 침치료가 어렵고 침치료를 하더라도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음주상태 : 음주를 하신 경우에는 해독을 하기 위해서 오장육부의 간이 활성화 됩니다. 이런 경우 근육이나 인대 손상으로 인해서 자침을 하거나 내과치료를 위한.. 2023. 9. 4.
침맞는 개수 알아보기 침 맞는 개수 알아보기 침치료를 하기 전에 자주 물어보는 질문 중에 하나가 침 몇개 맞아요?입니다. 침이 바늘과 비슷해 침 맞으면 아프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일 것입니다. 침이 아프긴 하지만 침보다 빠른 치료 법은 없습니다라고 편안한 마음으로 침을 맞을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 침을 맞는 개수는 손상 부위의 면적, 체력, 심리적 제안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1. 손상 부위의 면적 : 외과적인 근육통 혹은 내과의 질환이든지 불편한 부위가 클수록 침을 맞는 개수가 많아지고 부위가 적을수록 침이 적어집니다. 침은 문제가 있는 곳만 놓는 것이 원칙입니다. 정상인 곳에 침을 놓게 되면 몸이 오히려 불편해집니다. 2. 체력: 체력이 좋은 분들 특히 침 맞는 것을 좋아하시는 분들은 30개 이상 침을 맞은 후에도 별다른 불.. 2023. 9. 1.
침맞는 주기 알아보기 침 맞는 주기 알아보기  내복약을 처방받으면 빠른 치유를 위해 복용 방법이 있는것 처럼  침치료 또한 이와 비슷한 개념으로 침치료 주기 라는게 있습니다.  침치료 주기라는 것은 침치료를 매일,격일에 한번,3~4일에 한번 혹은 일주일에 한번아님 아플때만 맞는 등구체적인  치료 시간표입니다.침치료 주기는 증상의 경중, 급성만성, 체력, 나이, 어쩔 수 없는 시간제한, 한약복용 등에 의해 달라집니다.   1. 증상의 경중:  증상이 심한 경우는통증이 어느 정도 감소 될 때까지3~5일간 연속으로  침치료를 하는 게 좋습니다.체력과 나이의 조건을 고려해야 하지만너무 아프게 되면 아픈 것 자체가 너무 힘들기 때문에 통증을 빨리 잡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부분 급성일 경우에 해당합니다.증상이 가벼운 경우는 본인의 선택.. 2023. 8.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