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약 처방

쉰목소리가 나고 따끔거리는 목통증이 있을때, 기침을 하고 가슴이 쓰리고 아플때, 목에 이물감이 느껴질때,위의 소화가 잘되지 않으면 역류성 식도염을 의심해 봐야 한다.

by Dr.shine 2020. 4. 7.
반응형

 

쉰목소리가 나고 따끔거리는 목통증이 있을때,  목에서 삼켜도 뱉어도 없어지지 않는 이물감이 있을때, 기침을 하고 가슴이 쓰리고 아플때, 위의 소화가 잘되지 않으면 역류성 식도염을 의심해 봐야 한다.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은

위산이 역류해서

식도, 인후두, 인두구에 발생하는

염증 반응입니다. 

 

1. 평소에 없던 쉰목소리가 갑자기 나기 시작하고 

말할때마다 쉰목소리 때문에 자기도 모르게 목소리 톤을 높이게 되어

쉽게  목이 피로 해지는 경험을 해본적이 있는가?

 

2. 목감기가 걸리지도 않았는데

가끔씩 목이 따갑게 느껴지는 경우가 자주 있는가?

 

3. 목에 생선가시가 걸리지도 않았는데

삼켜도 뱉어도 사라지지 않는

이물감이 있는가?

 

4. 신물이 넘어오는 느낌이 들고

목이 따금거리면서 기침을 자주 하는가?

 

5. 식후에 가슴 흉골 부위가 

타는 듯한 느낌이 들면서 

쓰리고 아픈 느낌이 있는가?

 

6. 밤에 잠자는 도중

구토 비슷한 위산이 역류하는 느낌이 들어서 

쉽게 깨는 경우가 있는가?

 

7. 입냄새가 나는가? 

 

 

멀쩡하던 위산이 

왜 역류할까?

위산이 역류하는 근본적 이유는 

위의 기능이 제대로 작동을 하지 않아서 입니다 

 

흔히들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 때문에 진료를 받지만

실질적으로는 위가 불편해서 진료를 받는 경우는 적습니다.

위의 불편함이 상대적으로 덜하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역류성 식도염은 위의 문제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위가 정상적인 기능을 하고 있다면

역류성 식도염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주요 원인은

 

위에 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과식과 지나친 육식 입니다. 

 

특히 야식을 드시고 음식물이 소화가 되기전에

취침을 하는 습관이 있으면 

역류성식도염이 쉽게 발생할수 있습니다.

장기간 이런 습관에 노출되면

수면장애도 발생할수 있습니다.

(胃不和卧不安) 

 

역류성 식도염을 완치 하고 싶다면

치료의 시작과 종료까지

음식조절을 통해서 

위의 기능을 정상으로 회복 시키면 됩니다.

 

음식 조절은

고단백질을 가급적 피하고

채식 위주로 식단을 짜서

소식을 하는게 좋습니다.

 

특히 위에 자극을 주는 

맵고 짠 음식은 당분간 삼가하고

탄산음료, 커피, 차를 자제하고 

금주, 금연을 하면

위의 기능이 빨리 회복 됩니다.

 

음식 조절은 위와 관련된 질환에 모두 적용 됩니다

 

음식조절을 하는 상태에서 

약물의 도움을 받는다면

좀더 빨리 회복 할수 있수 있습니다. 

 

 

단순한 약물에만 의지하고 

음식 조절을 하지 않는다면 

완치가 되어도 쉽게 재발하게 됩니다.

 

약물 복용때는 증상이 개선되고

회복이 되는 것처럼 느껴져서

전에 가지고 있던 식습관을 또다시 하게 되면

위의 기능이 저하가 되어

몇달 지나지 않아서 바로 재발하게 됩니다.

 

역류성 식도염이 있다면

지금 바로 식습관을 체크해서

위의 기능이 회복 되도록 

식단을 작성해 보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