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침구추나치료(针灸推拿治疗)

갑자기 팔을 들어 올리지 못하면 오십견 인가요? 어깨의 묵직한 통증때문에 잠을 잘수가 없고, 어깨 한부분은 살짝 누르기만 해도 정말 아파요.이두근 건초염이 생기면 팔을 들어 올리기가 ..

by Dr.shine 2021. 2. 12.
반응형

갑자기 팔을 들어 올리지 못하면 오십견 인가요?

어깨의 묵직한 통증때문에 잠을 잘수가 없고

어깨 한부분은 살짝 누르기만 해도 정말 아파요.

 

나이가 50세 전후의 분들이 어깨가 아프고

팔 움직임에 문제가 생기면 

오십견이 아닌가?

하는 걱정을 한다.

 

오십견은

어깨 통증의 끝판왕기 때문에 

한번 걸리면 

회복하는데 고생을 많이 하기 때문이다.

 

40대 중반의 여성 환자분이 

3일간 갑작스런 어깨의 묵직한 통증과 

팔을 앞으로 60도 정도 들어 올릴수 있고

옆으로는 아예 들어 올리지 못했다.

 

딱 봐도 심각해 보였는데 

일반인이 보면 

오십견처럼 보일수 있는 증상이다.

 

그러나 

오십견(동결견)은 몇일 사이에 발생하는 질환이 아니고 

보편적으로 몇달간에 거쳐서 조금씩 악화되는 질환이다.

 

3일전에는 멀쩡하던 어깨가

갑자기 통증이 생기고, 어깨를 움직이지 못하면

분명 다른 원인이 있는 것이다.

 

전에도 어깨가 아픈적이 있는지 물어보니 

평소에도 어깨가 조금씩 아플때가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어깨를 움직이는데 전혀 문제가 없었다고 한다.

 

3일전에 무거운 물건을 들고 다닌후 

이렇게 어깨가 아프다고 한다.

 

눌러서 아픈 부위는 

이두근 장두의 건초가 있는 부위이다.

 

이두근 장두 건초 보위

다른 손으로 아픈 팔을 부축해서 들어 올려보라고 하니

아프긴 하지만 

정상 각도인  180도 까지 천천히 올라간다. 

 

팔을 부축해서 올리면 올라간다

오십견 같아 보이지만

정확한 진단은 

이두 장두근 건초염(肱二头肌长头肌腱鞘炎)이다.

 

이두근은 

어깨 활동에 있어서 

팔을 앞으로 올리는 동작

옆으로 벌려서 올리는 동작 

손을 등뒤 견갑골로 올리는 동작에 

모두 참여를 하는데

이두근 장두의 힘줄을 감싸고 있는 건초에 

염증이 생기게 되면

스스로 팔을 움직이기가 힘들고 

반대편 손 혹은 타인이 팔을 부축해서 올리면

팔을 들어 올리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런 건초염이 생기는 이유는 

이두근이 피로누적 혹은 손상이 있는 상태에서

갑자기 무리하게  이두근을 사용하게 되면 

이두근 힘줄에 영향을 주게되는데

이두근 힘줄을 감싸고 있는 건초가 

피로 누적이 심하면 염증이 생기게 된다

 

이 환자분은 전에 어깨가 아팠다고 했던 부위가 

이두근일 확률이 높다.

혹은 다른 원인으로 인해서 

이두근 장두 건초염이 생길수도 있다.

 

이두근 장두 건초염 치료는

이두근 장두를 최대한 이완 시키는게

제일 빠른 회복 방법이다. 

힘줄과 건초는 자침 치료를 할수 없으니 

근육을 치료 하는 것이 근본 치료가 된다.

 

이두근 장두 자침및 건초 부위 산침

이두근 장두에 자침을 하고 

이두근 장두 건초가 있는 주위에 산침을 하고 

적외선을 쏘여서

혈액 순환이 빨리 되도록 하게 하였다.

 

자침 치료후 

이두근 장두와 건초가 있는 삼각근을 

부드럽게 15분 정도의 추나를 하였다 .

 

치료후 

어깨의 움직임은 별다른 개선이 없었지만 

어깨의 묵직한 통증은 많이 개선 되었다.

 

두번째 치료전 

팔의 움직임을 보니

옆으로 들어올리는 각도가 80도 정도 되고 

앞으로도 90도 정도는 들어 올릴수가 있었다

 

3번째 치료후엔 

팔의 움직임이 

거의 정상으로 돌아 왔다.

 

3번째 치료후

3번째 치료까지는 2일간격으로 치료를 했고 

마지막인 4번째 진료는

3번째 진료후 4일째 되는 날이다.  

 

아픈 부위는 이제 통증이 사라지고 

팔을 움직이는 것도 편하다고 한다. 

 

치료전 검사를 해보니

팔을 앞으로 들어 올리면 

각도에 따라서 견관절 부위가 찝히는 느낌이 들며

 

팔을 앞으로 들어 올릴때 견관절 부위 찝히는 느낌

팔을 외전할때는 

견갑골쪽이 불편한 느낌이 든다고 한다.

 

팔을 외전시 극상근 부위 불편함

만세 동작을 하면 어깨가 찌릿 아플까봐

올리기가 부담스럽다.

 

극상근에 문제가 있으면 만세 동작이 힘들다

 

혹시 전에 어깨 아픈것이

"어깨충돌증후군"인가 물어보니 

정형외과에서 그렇게 진단 받았었고 

이것 때문에 꽤 오래 진료를 받았다고 한다.

 

이분의 이두근장두건초염은 

극상근의 문제로 발병한것이다 

 

극상근

회전근개 중의 하나인

극상근이 손상을 입으면

어깨가 불안정하고 

견관절을 움직일때 어깨에서 소리가 나며

만세 동작을 할때 견관절에서 찝히는 통증이 나온다.

 

이런 상태에서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옮길때

이두근 장두에 영향을 줄수 있는데

피로도가 너무 심하면 

이두근 장두의 건초에 염증을 일으킬수 있다.

 

극상근의 문제로 이두근 단두 건초에 영향을 줌

처음 내원 할때는 

이두근의 통증이 너무 커서 

원래 가지고 있던 극상근의 문제를 

잊어버리다가 

이두근의 손상이 점점 회복되고 

어깨의 관절 운동도 회복되니 

극상근의 문제가 툭 튀어나오게 된것이다.

 

조금 더 회복이 필요한 이두근과 극상근에

침추나 치료를 같이 했다.

 

이두근 극상근 동시 치료

6번째 치료때는

이두근의 통증은 완전히 사라졌고  

고질적인 통증인 극상근 치료에 

집중 하였다.

 

양측 어깨가 모두 불편하지만 

좌측 어깨가 우측보다 더아프다고 한다.

양측 극상근에 자침하고

어깨부위의 경직된 근육에 자침을 더했다.

 

극상근 자침 치료
극상근 추나 치료

극상근 치료를 하다보니

역시나 등 목 어깨 등등

근육 경직이 너무 심해서 

전체적인 치료를 진행했다.  

 

 

도합 10번의 진료로 

이두근장두건초염으로 내원 했다가 

덤으로 고질적인 통증인 극상근및 

목어깨등 통증까지 회복 되었다.

 

환자 본인도 치료에 대해 만족하였고 

이후 본인이 어깨 통증이 재발하게 되면

치료를 어떻게 해야 될지 알수 있게 됬다고 한다.  

 

갑자기 팔을 들어 올리지 못하면 

오십견은 아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오십견은 조금씩 조금씩 진행되는 특징으로 

급성인 경우는 없다.

 

어깨 통증이 있고 

어깨 움직임에  제한이 생기면

빨리 진료 받는것이

제일 좋은 방법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