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침구추나치료(针灸推拿治疗)

극하근의 통증 문제는 엎드려서 보면 좌우측의 옆구리선이 곡선이 매끄럽지 못하고 툭 튀어나온 것처럼 불균형이 보인다.

by Dr.shine 2022. 2. 9.
반응형

모든 통증 치료는  

정확한 통증 원인을 찾아내는 것이 

치료의 효과를 높이는 방법이다.

 

테니스 운동으로 인해서

어깨 통증으로 내원 하신 환자분이 

우측 어깨 아픈지 3개월이 됬다고 

 

통증이 있는데도 

운동을 계속 하다가 

지금은 서브를 하기 위해서 

팔을 들어서 뒤로 제끼는 동작을 할때만

어깨에 통증이 나와서 불편 하다고 한다

 

그런데 골프는 통증이 발생 하지 않는다고 한다.

   

어깨 관련된 모든 근육이 다치지 않고 

팔을 움직이는 각도에 따라서

근육 일부가 손상된 것이다.

 

대부분의 운동 손상은

이런식으로 근육 일부가 손상이 온다.   

 

어깨 관련된 통증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팔의 움직임을 통해서 

쉽게 찾아 낼수가 있다.

 

그런데 이 환자분은 

팔의 운동이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고

(정상의 움직임을 보여줬고, 좌우의 팔의 운동이 같았다) 

스트레칭에서도 뚜렷한 양성반응도 없었다.

그래서 각각의 근육의 저항력을 테스트 한 결과 

우측의 극하근이 아주 약하게 양성반응이 나왔는데 

자침을 하려고 엎드려서 보니 

우측의 옆구리 선과 좌측의 옆구리 선이

다르다는 것이 눈에 확연히 보인다

극하근 경직 수축이 있을때 볼수 있다. 

우측 극하근 경직 상태

 

이분은 근육의 탄력이 좋은 분이어서

어깨의 관절 운동에 전혀 문제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의 탈의후 엎드린 모습을 보니 

확연히 근육의 경직된 문제점이 보인 것이다.

 

근육의 탄력성및 유연성이 좋다고 할지라도 

통증이 있는 상태에서 

계속된 물리적인 힘을 가하게 되면 

근육이 경직되고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 생긴다.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어깨 관절 운동과

스트레칭을 할때

반드시 양성반응이 나오게 되어 있는데

 

간혹 유연성이 좋은 분들 중에는

통증은 있지만 

어깨의 운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니 

큰문제가 아니라 생각하고

운동을 하고 나면 

근육이 순간 활성화가 되어 

통증이 오히려 순간 감소하는 현상이 생겨서

시간이 지나고 꾸준히 운동하면 낳겠지 하는 생각에

방치하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이럴경우 손상된 근육은 절대 회복 되지 않고

다른 문제점을 야기 시키게 된다.

 

이분의 원래 손상부위는 

극하근인데 

극하근의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승모근과 능형근에 스트레스를 주게되어

우측의 근육이 좌측의 근육보다 

부풀어 오르게 된다. 

  

그래서 치료시 

극하근 뿐만 아니라 

승모근 견갑거근에도

같이 자침 치료를 하였다.

극하근 승모근 견갑거근 자침 

그리고 극하근은 

자침 치료도 효과를 보지만 

근육을 직접 이완시키는 

추나가 오히려 더 큰 효과를 가져다 준다.

추나 치료시 아플수 있지만

치료 기간이 단축되고

통증이 빨리 경감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극하근 추나 치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