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침구추나치료(针灸推拿治疗)

종아리 근육 파열 침추나 치료로 될까? 몇번 치료 해야 하나?

by Dr.shine 2022. 2. 7.
반응형

종아리 근육 파열 침치료, 추나치료로 된다.

 

종아리 근육 파열은 

운동의 강도가 높을 때 쉽게 발생하지만  

의외로 가벼운 운동에도 파열이 되곤 한다.

 

근육 파열 기본 원인은

근육의 피로 누적이 한계치에 다달았을때

워밍업 없이 근육을 갑자기 사용할 때 쉽게 발생한다.

 

 

그럼 치료는 어떻게 해야 하나?

 

 

2021.04.07 - [침구추나치료(针灸推拿治疗)] - 종아리에서 "뚝" 혹은 "퍽"소리 난 후 근육 파열 치료에 관한 썰~, 소염제 복용하고 낳기를 기다려야 하나 아니면 침, 마사지를 해야 하나 ~ 대체 어떻게 치료해야 빨리 낳고 후유증이 생기지 안..

 

종아리에서 "뚝" 혹은 "퍽"소리 난후 근육 파열 치료에 관한 썰~, 소염제 복용하고 낳기를 기다려

운동중에 종아리 근육에서 뚝하는 소리 혹은 야구 방망이로 맞은것처럼 퍽하는 소리를 경험 하면 종아리 근육 파열 된것이다. 종아리 파열땐 보통 가자미근과 비복근이 쉽게 손상을 입게 되는

drshine.tistory.com

 

근육이 파열이 되면 

일단은 부종이 있을지라도 

침, 추나 마사지 치료를 하는 것이 좋다.

 

치료를 하다 보면

근육이 파열이 되어 있기에 

만지기만 해도 아프다.

 

종아리도 아파서 걷기 힘든데

치료마저 아프니 

이게 진짜 치료가 될까 하는 마음도 든다.

 

그래도 침 추나로 치료를 해야 한다.

 

 

치료는 얼마나 해야 하나?

 

이 부분은 증상의 경중에 따라

치료 기간이 다르다.

 

그러나

침으로써 얼마나 회복이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두 가지 경우가 있는데

 

첫번째,

자침을 하고 발침 할 때 

피가 아닌 

피색이 섞여있는 액체 혹은 물과 같은 진액이 나올 경우 

 

두번째,

근육에 자침을 하는데 

근육이 너무 경직되어 있어서 

침이 부드럽게 들어가지 않고 

억지로 쑤셔 넣는다는 느낌이 들 때 

 

일반적으로

이 두 가지의 경우가 동시에 나타나면

치료를 꾸준히 해야 한다.

 

몇 번의 치료를 해야 낳는 것이 아니라

증상이 사라질 때까지 치료를 해야 하기 때문에

치료 횟수는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굳이 기간을 얘기하자면

일주일에 두 번 치료 이상

최소 한 달은 생각하시는 게 무난하다.  

 

보통 회복되는 순서는 

물과 같은 진액이 먼저 사라지고 

그 후에 손상된 근육의 경직도가 풀리곤 한다.

 

 

이 두 가지의 증상이 있는 상태에서 

치료를 그만둔다면?

 

걷는데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정도에서 

치료를 그만두는 경우가 많은데

 

파열된 근육이 완전히 회복이 되지 않은 경우

치료를 그만두게 되면

회복되지 않는 부위는 

자연치유가 되지 않고 

회복되지 않는 상태로 그대로 남게 되어 

 

근육 탄력이 줄어드는 연령대에 들어설 때

무리한 육체적 일 혹은 운동을 할 경우

10년이 지나도 혹은 20년이 지나도 

통증이 재발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그렇기에 손상될 때 

완전히 회복이 되도록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