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침구추나치료(针灸推拿治疗)

침몸살은 증상이 호전 되려는 정상 반응 인가 ? 부작용 인가?침의 원리를 이해 하면 침몸살이 이해 된다.

by Dr.shine 2020. 10. 20.
반응형

침몸살은 증상이 호전 되려는 정상 반응인가? 부작용 인가?

침의 원리를 이해 하면 침몸살이 이해 된다

 

침치료를 하다 보면 

1~2일정도

무기력,

전신 오한,

치료부위 혹은 전신에 심한 근육통이  발생할수 있는데

 

몸에 발열은 없지만 감기몸살과 비슷하여

"침몸살"라고 말한다.

 

침몸살의 증상을 살펴 보면

운동을 심하게 한후 발생하는 근육통과 비슷하다.

 

 

침치료는 근육을 운동 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일까?

어떤 원리로?

 

 

침을 보면 

금속으로 되어 있다. 

 

금속을 구하기 어려운 그 옛날에

다른 물질이 아닌 철을 이용해서

침을 만들었다는 것에

주목을 하고 싶다.

 

반드시 철을 이용해야만 하는 이유는 

사람의 몸은 전기가 흐르는데 

아픈 부위에 침을 자침 하면 

평소보다 더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고 

자침한 부위의 근육에 더 많은 자극을 주게 되는데

나는 이런 현상을 

침을 통한 자가운동치료라고 말하고 싶다.

 

그래서 아픈 부위에 자침만 하고 

일정 시간만 지나면

문제 부위가 스스로 운동을 하게 되서 

그냥 회복 되는것이다.      

 

정리를 해보면

침치료의 원리는

체내의 전기를 이용한 

자가근육운동치료 이다

 

 

손상이 없는 정상인 근육 상태에서  

갑자기 하지 않는 축구를 한시간 정도 하면 

당일 저녁 혹은 다음날까지

온몸이 뻐근하고 묵직한 근육통이 생긴다는 것을 

알수 있다.

 

침치료 부위는

일반적으로 손상된 부위에 자침을 하게 되며

손상된 근육이 운동을 하게 되면 

정상인 근육이 운동을 하는 것보다

더 힘들게 되니 

근육통이 더 심하게 발생하는데 

증상이 감기 몸살과 비슷하여

침몸살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손상된 근육이 장기간 만성화 되신분

혹은 급성으로 근육 손상이 심한 상태이신 분은

침치료를 하게 되면

한번쯤은 반드시 침몸살이 나오게 되고

자침의 수에 따라서 침몸살 증상의 경중이 달라진다.

그런데 침몸살을 한번 겪으면

매 치료때마다 회복 속도가 눈에 보일 정도로 굉장히 빨라진다.

 

소화기가 약해서 발생하는 저질체력인 분이 

국부의 근육통을 치료하기 위해서

자침을 많이 하게 되면 

체력저하의 침몸살이 발생하는데

체력이 회복되는데 3~4일의 시간이 걸릴수도 있다.

이런 분들은 손상 국부의 자침보다

전신의 기력을 올리는 경혈 자침을 하는것이 좋다.

 

따라서 침치료시 

정확한  손상 부위와 기초체력을 제대로 파악하고 

자침의 숫자와 유침의 시간을 조절 하면

침몸살이 발생 하더라도

가볍게 넘어 갈수 있다.

 

 

침몸살이 났다는것은  

병이 호전되는 전환점이라는 특징도 가지고 있으니

치료중 침몸살이 발생하더라도 

걱정하지말고  

완치 될때까지 꾸준히 치료를 받는것이  좋다.

 

 

 

 

 

 

 

 

 

 

   

 

 

 

 

 

 

 

 

 

 

반응형

댓글